역사와 자연이 함께하는 곳, 양산 통도사

부산 홈페이지 제작

역사와 자연이 함께하는 곳, 양산 통도사

피코소프트 디자이너
피코소프트 디자이너 2025.02.05 16:57
  • 홈페이지공개
  • 조회수 3
  • 댓글수 0

727




양산은 아름다운 자연과 역사적인 명소가 많은 도시입니다. 


그중에서도 한국의 3대 사찰 중 하나로 손꼽히는 통도사는 꼭 방문해야 할 명소 중 하나입니다. 



2018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통도사는 오랜 역사와 불교 문화를 간직한 사찰로, 많은 사람들이 찾는 명소입니다.




통도사의 역사



717



통도사는 신라 선덕여왕 14년(646년) 에 자장 율사가 창건한 사찰입니다. 


자장 율사는 당나라에서 석가모니의 진신사리와 가사 를 가져와 통도사에 봉안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통도사는 불보사찰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이는 해인사(법보사찰), 송광사(승보사찰)와 함께 한국의 삼보사찰 중 하나로 꼽히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718
719


특히 통도사의 대웅전은 일반적인 법당과 달리 내부에 불상을 모시지 않고 있으며, 


이는 바로 뒤편에 위치한 금강계단에 석가모니의 진신사리가 봉안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독특한 구조는 인도의 고대 사원 배치 방식과도 유사한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통도사의 건축과 배치



720




통도사의 가람 배치는 ‘삼원식 가람 배치’ 형식을 따르고 있습니다. 


이는 고대 이후의 사찰에서 보기 드문 방식으로, 크게 상로전, 중로전, 하로전 으로 나뉩니다.





721




일주문 → 천왕문 → 불이문 → 대웅전 으로 이어지는 장축 배치


대웅전과 금강계단 이 중심을 이루며 신성한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극락전, 약사전, 영산전, 만세루, 용화전 등 다양한 전각 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722



특히 대웅전(국보 제290호) 은 정면 3칸, 측면 5칸의 겹처마 팔작지붕 건축물로, 조선 인조 23년(1645년)에 재건된 것입니다. 

이곳에서는 부처님의 모습을 형상화한 불상이 아닌, 진신사리를 모신 금강계단이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습니다.




통도사의 주요 문화재







통도사에는 수많은 문화재가 보존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것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724



통도사 대웅전 및 금강계단(국보 제290호)

통도사 봉발탑(보물 제471호) – 고려 시대의 석조물로 용화전 앞에 위치
통도사 영산전 벽화(보물 제1711호) – 조선 시대의 벽화로 역사적 가치가 큼




725726



동제은입사향로(보물 334호) – 고려 시대의 뛰어난 예술적 작품

3층 석탑, 사립탑, 석상, 석등 등 다양한 신라 및 고려 시대 유물



방문 정보



통도사

055-382-7182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운영 시간 - 24시간 개방 


(단, 문화재 관람 시간은 별도 확인 필요)


주차 


사찰 입구에 넓은 주차장 완비 (유료)




통도사는 단순한 사찰이 아니라, 오랜 역사와 불교문화가 살아 숨 쉬는 공간입니다. 

불교 신자가 아니더라도 고즈넉한 분위기 속에서 마음을 정화하고, 역사적인 유산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곳입니다. 


양산을 방문할 계획이라면 통도사를 꼭 들러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본 저작물은 영축총림 통도사 홈페이지(https://tongdosa.or.kr/index.php)에서 제공된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해당 콘텐츠의 저작권은 영축총림 통도사에 있으며,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합니다.



▶ 해당 게시물 블로그에서 보기

https://m.blog.naver.com/qortmdgms/223748602044